“손님이 뜸해서 소일거리로 논술강의를 시작했어요. 애들을 보니 활기차고 시간이 빨리 가 좋아요.”
서울시 양천구 목동신시가지에서 만난 A공인중개사는 최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논술 강의를 시작했다. 시인으로 등단하는 등 재능이 남다르기도 하지만 이렇게 ‘투잡’을 뛰게 된 데는 본업인 공인중개소가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 ‘개점 휴업’ 상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주택경기 침체가 본격화되면서 공인중개사 개업자수가 줄어들고 있다.
30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전국 공인중개소 개업자수는 1만6903명으로 전년(1만9659명)에 비해 14.02% 감소했다. 이는 2013년(1만5816명) 이후 6년 새 최저 수준이다.
공인중개사 개업자수는 2014년 1만8423명, 2015년 1만8947명, 2016년 1만9830명을 기록한 뒤 2017년 2만1007명으로 정점을 쳤다. 하지만 2018년 1만9659명으로 감소하더니 거래 침체가 본격화된 지난해엔 1만6000명대로 급감했다. 공인중개사시험 응시자수가 2014년 12만890명(산업인력공단)에서 2018년 21만8614명으로 최근 5년 새 2배로 뛴 것과는 대조적이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개업자수 감소가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에 따른 주택경기 부진과 지역경제 침체와 연관 깊은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 통계누리에 따르면 전국 주택거래는 2013년 118만727가구에 불과했으나 2017년 175만9661가구로 증가한 후 2018년 171만9231가구로 감소했다. 통계청의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량은 전년대비 6.0% 감소했다. 신규 입주예정 아파트도 11.6% 줄어들었다.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공인중개사를 통하지 않는 직거래 플랫폼 등을 통한 거래가 늘면서 중개사들이 생업을 위협받고 있다”면서도 “전반적으로 부동산 규제강화에 따른 시장침체 영향이 가장 크다”고 말했다.
실제로 2017년 1만4900명이던 전국 공인중개사 폐업자수도 2018년 1만6254명으로 껑충 뛰더니 지난해엔 1만5462명을 기록했다.
조선업 등의 부진으로 지역경기가 침체된 경남의 경우 지난해 공인중개사 개업자수는 786명인 반면 폐업자수는 그보다 많아 1004명에 달했다. 경기북부 부산 울산 충북 충남 전북 등도 지난해 중개사 폐업자수가 개업자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 중과, 15억원 초과 아파트의 주택담보대출 전면금지, 주택취득자금 조달서 작성 등 정부의 잇단 시장억제 대책이 매매 거래를 위축시킬 수 밖에 없다"며 "올해 매매 거래량은 지난해 대비 더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 '꼬마빌딩' 편법증여도 틀어막는다 (0) | 2020.02.01 |
---|---|
[온라인으로 보는 해외 부동산] 돈 많아도 못사는 싱가포르 땅 ··· ‘숍하우스’가 유일한 대안 (0) | 2020.01.31 |
건설사, 춘절 휴가 직원들 中 복귀 연기…"신종 코로나 상황 봐야" (0) | 2020.01.30 |
"39㎡에 5명 산다고?"..갭투자 부추기는 가점제 (0) | 2020.01.30 |
"일몰제는 피하고 보자" 조합설립신청 몰리는 2월 (0) | 2020.01.29 |